각각의 성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어지는 글들에서 배워보기로 하고요, 이 번엔 품사차례입니다.
깡통로봇의 성분이 머리, 몸통, 팔, 다리라면 그 각각의 부품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져 있을까요?
깡통로봇은 일반적으로 전체가 깡통이라는 쇠 재질(재료)로 만들어져 있겠지만,
어떤 로봇은 머리는 깡통(쇠), 몸은 나무, 손과 발은 플라스틱으로 각각 만들어질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성분(부품)의 재료가 되는 것을 품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는 어떤 부품(성분)을 만들 때 아무 재료(품사)나 쓰지 않죠.
그래서 성분과 품사는 뗄래야 뗄 수가 없는 관계입니다.
모든 성분에는 그에 걸맞는 품사가 배정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장성분의 재료가 되는 '품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것 역시 여러분들이 이미 중학교부터 한 번쯤은 들어봤던 것들이라 가볍게 나열할렵니다.
영어 품사에는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타사 총 8개가 있죠!
기억이 새록새록 나시죠?^^
그렇다면 장기기억을 위해 다시 한 번 정리해볼까요?
문장은 뭘로 이뤄져있나요?
네, 맞습니다. '어'로 끝나는 성분, 즉,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 등으로 이뤄졌습니다.
그리고 문장이 되려면 최소한 주어와 서술어 2개의 성분은 필히 있어야 됩니다.(단, 명령문 제외)
품사란 무엇인가요?
일단 '사'로 끝나는 단어고요, 각 성분의 재료로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등이 있습니다.
이외 대명사와 감탄사, 그리고 접속사도 있습니다만,
일단 위 5총사가 문장성분의 재료가 되는 주요 품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문장을 이루는 성분과 품사는 어떤 관계죠?
로봇이 각각의 부품의 결합으로 완제품으로 탄생하듯이, 문장 역시 로봇처럼 각각의 성분의 결합물입니다.
각 성분은 품사라는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그래서 둘은 짝꿍관계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주어라는 성분은 반드시, 필히 명사라는 품사만 재료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서술어라는 성분은 명사가 아닌,
㉮ 동사라는 품사가 단독으로, 혹은
㉯ 동사에 형용사, 혹은 명사라는 품사(재료)가 결합해야만 만들어집니다.
다시 말해, 형용사가 서술어가 될 수도 없으며, 당연히 부사도 서술어 재료는 안 됩니다.
성분과 성분의 재료인 품사에 대해 간략한 예를 드는 것으로 이 번 장은 마무리하겠습니다.
‘건강한’은 내 목표다!라고 하면 어떤가요? 괜찮은가요?
네, 한국사람이라면 당연히 뭐야?라고 하겠죠?
그럼 이건 어떤가요?
'건강하려고'는 나의 목표다! 이 '것' 역시 이상하죠?
위에서 언급했듯이 문장이되려면 최소한 주어와 서술어라는 성분은 있어야하며,
주어의 재료는 '명사'라는 품사며, '서술어'라는 성분의 재료는 '동사'라는 품사입니다.
차후에 배우시겠지만, '건강한'은 형용사란 품사며, '건강하려고'는 부사입니다.
주어라는 성분은 뭐랬죠? 네, 명사라는 품사만 재료가 될 수 있다했죠?
그런데 어떻습니까? 그 자리에 형용사나 부사라는 짝꿍이 아닌 품사가 떠억~하고 들어가 있으니
문법을 전혀 모르는 사람한테도 이상하게 들릴 수밖에요.
그렇다면 주어 자리에 명사라는 품사로 한 번 넣어볼까요?
그래서 위의 요상한 '것'이 '문장'이 되려면 아래처럼
'건강'은 내 목표다. 혹은 '건강함'은 내 목표다. 라고 해야죠! 이제 아시겠죠??
'건강' 혹은 ‘건강(함)’이란 재료(명사)만이 주어라는 성분이 될 자격이 있습니다.
이게 바로 성분과 품사(성분의 재료)의 '찰떡궁합' 관계랍니다.
"Rome was not built in a day."
로마는 하루에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And
"A journey of a thousand miles begins with a single step."
그리고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된답니다.
여러분은 그 중요한 첫 걸음을 오늘 떼신거죠.
여행의 끝까지 함께 하셨으면 합니다.
'영어로 글쓰자(문법편) > 차분히 다지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부터 충실하자(6)_'품사(종류)'_전치사, 접속사 (0) | 2020.12.07 |
---|---|
기본부터 충실하자(5)_'품사(종류)'_형용사, 부사 (0) | 2020.12.07 |
기본부터 충실하자(4)_'품사(종류)'_명사, 대명사 (0) | 2020.12.04 |
기본부터 충실하자(3)_'문장성분(종류)_주어와 서술어 (0) | 2020.12.04 |
기본부터 충실하자(1)_'문장성분(개요)'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