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우리는 현재완료시제에 대한 개념을 공부해봤습니다.
어마 무시하게 긴 글이었지만, 한 번의 글로는 충분하지 않을 만큼 이 현재완료라는 시제는 영어에서 여전히 3대장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중학교 때 배웠던 현재완료 경험, 완료, 결과, 계속이란 개념도 결국은 지난 시간에 배웠던 현재완료의 개념이
제대로 잡혀있으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지만, 반대로 아직도 여러분의 머릿속에서 이 시제의 개념이 선명
하지 않다면 이 두 번째 시간을 통해 100% 완벽하게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다시 한번 복습해볼까요?
자, 아래에 두 개의 문장이 있습니다.
(1)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
(2)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
위 두 문장은 100% 같아 보입니다. 적어도 지금은 말이죠!
하지만 바로 이것 때문에 우리가 과거시제와 현재완료시제를 혼동하게 되는 겁니다.
(1)은 현재 시점에서 한 내용이고, (2)번은 과거 시점에 관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위 문장만 가지고선 절대 알 수없죠.
이 차이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각 문장 앞에 질문을 하나씩 적어보겠습니다. 그러면 시점이 분명히 드러날 것입니다.
<(1) 배경 상황 설명>
학원 수업이 9시에 끝나고 퇴근한 선생님이 8시에 수업이 끝난 학생이 아직도 버스를 타지 않고 버스정류장 근처를
서성이고 있는 모습을 발견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그 학생이게 이렇게 묻는 거죠!
"A야~, 너 왜 아직도 집에 안 가고 여기에 있어?" 그러자 A란 학생이 이렇게 대답하는 거죠.
"샘,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라고 말이죠.
자, 여러분! 지금 이 학생과 선생님의 대화가 발생한 시점은 언제죠?
네, 바로 지금, 현재입니다. 지난 일을 얘기하고 있는 게 아니라, 현재 이 순간에 벌어지고 있는 대화죠!
분명 휴대폰을 잃어버린 건 지금 선생님이 묻고 있는 상황 이전에 일어난 것은 분명합니다.
그것이 10분 전이든, 학원에서 나오자마자이든 분명히 이미 일어난 내용인 것은 의심할 나위가 없습니다.
그런데 학생의 대답은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이며,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아~그래?"라고 바로 상황 파악이 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지난 시간의 현재완료 개념을 이용, 바꿔서 말해보자면 바로 다음과 같기 때문이죠.
"샘, 저 현재 휴대폰을 잃어버린 상황이에요." + (그래서 지금 제가 폰이 없는 상황이라 버스를 못타고......)
A학생의 대답을 들은 한국사람이라면 아마 100% 위와 같은 내용으로 이해를 할 것입니다.
물론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예외가 될 순 없죠.
하지만 아래의 대화는 어떤가요?
<(2) 배경 상황 설명>
학원 선생님이 어제 A란 학생이 엄마랑 시내에서 걸어가고 있는 걸 봤습니다.
다음날 A학생이 학원에 오자 선생님이 이렇게 묻죠!
"A야, 너 어제 엄마랑 시내에서 뭐했냐?"
그러자 A란 학생이 이렇게 대답하는 거죠.
"아~어제 친구들이랑 축구하다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 그래서 휴대폰 새로 장만하러 엄마랑 시내 갔었어요.
자, 각각 다른 상황에서 100% 같은 내용이 나왔습니다.
바로 위에선 언급한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라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보다시피 (1)번은 현재시점에서 한 말이고, (2)번은 어제 일어난 일입니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므로 다시 한번 천천히 읽어보고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두 문장은 100% 우리말로는 같지만, (1)번 문장은 분명 어제나 지난 일에 관한 얘기가 아닌,
현재 시점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화인 반면에, (2)번 문장은 100% 현재완 상관없는, 어제 일어난 일에 관한 내용이죠.
그런데 우리말로는 완전히 똑같은 내용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의 현재완료란 시제를 이해할 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죠.
한 번 더 해볼까요? 예문을 많이 접할수록 이해가 쉽죠.
(1) 책 샀어요.
(2) 책 샀어요.
역시 이 번에도 짧지만 100% 같은 문장입니다.
(1)번 상황입니다.
선생님이 며칠 전에 학생들에게 새로 수업할 책을 소개하고 오늘 수업에 가져오라고 말씀하신 상태입니다.
선생님이 이렇게 묻죠.
"애들아~다들 수업 준비는 됐냐?" 그러자 학생들이
"네, 샘~~!! 책 샀어요."
이 번엔 (2)번 상황입니다.
"A야, 너 그제 서점에서 봤다. 엄마랑 같이 왔더라?"
"아~샘, 그때 서점에서 책 샀어요."
자, 어떤가요? (1)번과 (2)번 상황이 차이가 느껴지나요?
네, (1)번 시점은 현재입니다. 반면엔 (2)는 그제라는 이미 과거시점입니다. 전혀 다르죠?
하지만 우리말로는 100% 같습니다.
(1)번 상황을 역시나 이전 시간 배웠던 현재완료개념을 이용해서 풀어볼까요?
"애들아~다들 수업 준비는 됐냐?" 그러자 학생들이
"네, 샘~~!! (저희) 현재 책을 산 상태예요. (그래서 수업하셔도 됩니다.)"라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표현이죠.
위 내용을 한 마디로 "책 샀어요."라고 학생들은 대답했고, 당연히 선생님은 위 내용처럼 알아듣습니다.
하지만 (2)번 상황은 100% 과거에 일어난 일입니다. 즉, 시점에 과거이므로 과거시제를 사용해야죠.
과거시제란 말은 바꿔 말하면 현재하곤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얘기입니다. 그렇죠?
자, 그렇다면 위 두 개의 예문을 영어로 옮겨볼까요?
첫 번째 예시 (1)번 상황입니다.
"Hey~A, what are you doing here?"
"Sam, I have lost my cell phone."
첫 번째 예시 (2)번 상황입니다.
"Hey~A, why didn't you answer my call yesterday?"
"Sam, I lost my cell phone yesterday while playing soccer with my friends."
분명 다르죠?
한국말로는 분명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지만 첫 번째 상황은 현재시점이므로 'have lost'한 현재완료시제를
쓴 반면, 두 번째 상황은 분명 이미 지난 시점, 즉 과거 시점이므로 과거시제를 사용 'lost'라고 썼습니다.
자, 이 번엔 두 번째 상황을 한 번 살펴볼까요? (1) 번 상황을 영어로 옮겨보겠습니다.
"Hey, guys, are you ready for the class?"
"Yes, Sam. We have bought the book."
(2)번 상황입니다.
"Hey, A! I saw you and your mom at the book store the day before yesterday."
"Well, Sam! I bought a book."
자, 여러분은 현재완료라는 시제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선 번거롭더라도 이제 이렇게 해보세요.
첫 번째 상황에서 선생님이 학생에게 묻죠.
"A야~너 뭐 하고 있어?"
"쌤~저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라는 일상적인 우리말 표현 대신에 이제 이렇게 연습해보는 겁니다.
"쌤~저 지금 휴대폰을 잃어버린 상태예요. 그래서~~~(그래서 폰이 없어 집에도 못 가고~~~~~~생략)
두 번째 상황 역시 이렇게 이해해보자고요!
"애들아~수업 준비됐어?"
"예~책 샀어요."란 우리말 표현 대신,
"네~ (저희) 지금 책을 산 상태예요. (그래서 ~수업하셔도 돼요~~쌤~~ 생략)
어떤가요, 여러분!
현재완료가 왜 과거와 관련 없고, 현재와 관련 있는지 아시겠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현재완료란 시제는 현재시점입니다. 우리말로 옮겼을 때 과거처럼 느껴질 뿐
현재완료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왜 영문법책에선 현재완료를 과거에 일어난 일이나 상태가 현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표현할까요?
대답은 이미 설명됐습니다. 바로 '그래서~'가 그 답이죠!
첫 번째 상황에서 학생의 대답은 분명 "휴대폰을 잃어버렸어요."입니다.
휴대폰을 잃어버린 것은 이미 과거의 일입니다.
그런데 '그래서'란 표현 뒤에 생략된 내용이 뭐였죠? 굳이 제가 억지로 설명하려들지 않아도 한국사람이라면
다 이해하는 내용이라고 했죠? 네, 바로 "그래서 지금 휴대폰이 없어서 버스도 못 타고~~~~ 생략."란
내용을 거의 대부분 생각하실 테고, 다르더라도 크게 다르진 않을 겁니다. 맞죠?
휴대폰을 잃어버린 건 과거의 일이지만 '그래서'란 내용을 보면 단순히 과거의 일로 끝났나요? 아니죠?
휴대폰을 잃어버린 사건이 '그래서~~'란 내용을 통해 현재에
영향을 미치고 있죠?현재완료를 그럼 이렇게 이해해보는 건 어떨까요?
현재 + 완료 → 완료 + 현재! 무슨 말이냐고요?
I lost my cell phone. (이미 끝난 일= 완료) + so I don't have my cell phone now~~~~(현재 상태)
두 번째 상황도 같은 방식으로 이해해보면 되겠죠?
책을 산 건 이미 과거의 일이겠지만 역시 이 번에도 '그래서'란 생략된 내용을 통해 역시나 과거의 일로 끝나진 않았죠?
책을 산 게 현재와 분명 관련이 있죠?
역시 이 번에도 아래처럼 이해해볼까요?
완료 + 현재 = 현재완료!
We bought the book. (과거에 일어난 일= 완료) + So we have the book now. (현재의 상태)
이제 왜 문법책에서 과거에 일어난 일이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하는지 이해가 되셨죠? :-)
이 번 강의 역시 풀어쓴다고 썼지만 어려우면 두세 번만 더 읽어보세요. 그 정도의 노력은 하실 수 있죠?
제가 이 글을 쓰느라 얼마나 많은 고민과 나름대로의 연구를 했겠어요? :-)
여러분도 저처럼 고생하란 얘기는 아니지만,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요.
힘드시더라도 몇 번을 되풀이해서 읽다 보면 이해가 될 것이고, 그래도 안 되면 일단은 넘어가라고 했던 말 기억하시죠?
여러 개의 연결고리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어느 순간 "아~그 게 이 말이었구나!"라고 깨닫는 순간이 올 겁니다.
그때까지 부디 지치지 마시고 저랑 함께 하셨으면 합니다.오늘도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고요,
다음 시간에도 역시 현재완료와 함께 찾아뵙겠습니다.
When you read this in the morning, I hope you have a nice day.
If you read this later today, enjoy the rest of the day. :D
'영어로 글쓰자(문법편) > 차분히 다지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부터 충실하자(22)_'현재완료(Present Perfect)에 대해 1탄' (0) | 2021.01.24 |
---|---|
기본부터 충실하자(21)_'진행과 완료에 대해' (0) | 2021.01.13 |
기본부터 충실하자(20)_'시제의 표현' (0) | 2021.01.04 |
기본부터 충실하자(19)_'시제(Tense)에 대해' (0) | 2020.12.29 |
기본부터 충실하자(18)_'(5?)형식 중(4,5형식)' (0) | 2020.12.16 |